제목 | 대천1동 |
---|---|
구분 | 지명유래 |
내용 | 대천1동 과거 대천시 지역6개 행정동 중의 하나이다. 대천동의 구시지역과 시가지의 동부지역, 죽정동을 관할한다. 구시가 옛 한내장의 중심지 였기 때문에 대천의 시발지역이라는 뜻으로 元洞(원동)이라고 하였으나 `95년 대천시와 보령군의 통합으로 인하여 시의 명칭이 보령시로 됨에 따라 그동안 지명도가 높았던 대천이란 지명이 사라지게 되어 다수의 시민들이 아쉬움을 가지고 있어 시민들로부터 대천지명을 살리자는 여론이 조성되어 `99. 3. 15 대천지명찾기 운동 추진위원회로부터 동지역 주민 29,640명의 서명 및 날인을 받아 행정동의 명칭을 변경해 달라는 청원서가 접수되어, 이에 `1914년부터 대천이라 불려지던 옛 행정구역 명칭을 회복하여 주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키고,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대천이라는 지명을 사용함으로써 관광객의 이해을 돕기위해 보령시조례 제368호(`99.7.20)의거 원동에서 대천1동 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음. 대천동(大川洞) 본래 보령군 목충면(睦忠面)의 지역으로서 한내(大川)가에 있었으므로 한내 또는 대천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폐합에 따라 갈두리(葛頭里), 신평리(新坪里), 쌍암리(雙岩里), 관촌을 병합하여 대천리라 하고 이 이름을 따서 대천면 읍 시가 되었다. 1986년 대천시 승격 이후 대천동으로 불린다. ◎ 골캐논 : 새터와 대천초등학교 사이의 좀 낮은 곳에 있던 논이다. 홍수 때는 새터 보다 먼저 침수되어 새터가 섬처럼 되는 곳이다 현재는 모두 거주지화 되었다. ◎ 공판재 : 윗갈머리 한국전력 뒤쪽에서 죽정동 지장골로 넘어가는 고개로 꼭대기에는 서낭이 있다. ◎ 구장터(舊市) : 과거에 대천시장이 섰던 곳이다. 이 곳은 한내 돌다리를 통하여 대천천 남쪽에서 사람이 모이고 쇗개를 통하여 서해 도서지역에서 해산물과 사람이 모여 큰 시장이 섰었다. 그러나 철도의 개설로 구시의 한복판에 철도가 지나가 쇠퇴하게 되었고 대신 新市(새장터)가 개발되게 되었다. 과거 나무장터와 구시 사이에 있던 보통(洑通)을 경계로 서남쪽을 구시라 한다. 1960년대 대천동안에 있던 행정동의 한 이름이다. ◎ 대 승 사 : 신사자리에 세운 절로 정해년 2월 9일 젊은 승려 이종천이 세웠다. ○ 대천 1통 1반 : 대천동 1, 1-2, 1-5, 1-7, 1-9, 1-17, 1-18, 1-19, 3-1, 4-7, 4-8, 4-9, 4-11, 4-12, 6-2, 6-3, 37-1, 37-5, 37-10, 37-14일원 2반 : 대천동 11-1, 12-1, 12-3, 18-1, 19-6, 19-14, 19-17, 21-6, 21-19, 22-6, 22-7, 22-9 일원 3반 : 대천동 37-11(보령아파트) 4반 : 대천동 2-9, 2-10, 2-12, 21-14, 21-22, 21-24 일원 ○ 대천 2통 1반 : 대천동 15, 17-1, 17-2, 17-3, 17-4, 17-5, 17-7, 17-9, 17-11, 17-12, 22-4, 22-14, 22-15, 22-17, 25, 25-3, 26-1, 36-1, 36-2, 37-3, 37-16 일원 2반 : 대천동 22, 23, 28-3, 31, 31-2, 33-4, 33-5, 34-1, 34-2, 35-1, 35-2, 35-3, 35-8, 41-1, 41-2, 42-1, 43-1, 43-10, 45-1, 45-3, 45-5, 46-2, 57-4, 일원 3반 : 대천동 39-1, 45-4, 56, 56-1, 57, 57-3, 57-5, 57-9, 58-2, 59-2, 59-3, 62-2, 62-5, 62-6, 103, 117, 117-1, 117-8, 118-1, 118-2, 118-3, 118-4, 일원 4반 : 대천동 135-2, 135-6, 135-7, 136, 136-1, 136-3, 136-5, 137-3, 137-7, 137-12, 137-16, 137-16, 137-21,137-11,137-23,137-27, 137-31, 137-32, 137-35, 137-37, 137-38, 137-39, 137-40, 137-44,137-45, 137-51,137-65, 138-1, 138-49, 138-50, 139-10, 139-11, 139-14, 142, 142-11, 142-13, 산28일원 ○ 대천 3통 1반 : 대천동 49, 50, 53, 54-8, 54-11 일원 2반 : 대천동 49, 51, 52-1, 67-3, 68, 85, 96 일원 3반 : 대천동 64-2, 67-9, 100, 101-3, 108-8, 108-16, 108-28 일원 ○ 대천 4통 1반 : 대천동 84-1, 106-1, 173-7, 173-11, 618-4, 618-6, 618-25, 618-26, 618-30, 618-34, 618-132 일원 2반 : 대천동 618-17(대천아파트) 3반 : 대천동 120 일원 ○ 대천 5통 1반 : 대천동 108-6, 108-11, 108-18, 108-20, 108-32, 108-33, 112-6, 116-7, 117-2, 117-3, 117-4, 117-5, 117-7, 118-7 일원 2반 : 대천동 106-4, 106-7, 107-2, 107-10, 108-7, 108-21, 108-25, 108-26, 108-45, 110-3, 110-6, 110-8, 111-2, 111-5, 113, 114-2, 115-1, 115-3, 115-6, 116-9, 172-10 일원 3반 : 대천동 124-2, 124-3, 124-6, 126-1, 126-6, 127-3, 132-2, 132-5, 134-7, 137-17, 137-18, 134-19, 140-5, 140-6, 140-15, 143-42, 143-44, 143-45, 143-46, 143-47, 167-6, 167-7, 167-11, 167-12, 167-14, 167-15 일원 4반 : 대천동 127-2, 152-3, 152-9, 154-3, 154-6, 154-10, 154-12, 154-13, 154-14, 154-15, 154-33, 163-2, 163-4, 165-1, 167-3, 167-19, 167-20, 167-23, 167-25, 168-1, 168-2, 168-9, 170-1, 171 일원 ○ 대천 6통 1반 : 대천동 179-1, 179-2, 179-3, 180-3, 181-3, 182-1, 183-1, 183-2, 183-4, 183-5, 183-8, 183-13, 183-14, 184-2, 184-4, 184-7, 184-12, 184-14, 618-42, 618-43, 618-44, 618-46, 618-48, 618-49, 618-59, 618-60, 618-103, 618-104, 618-121, 618-123 일원 2반 : 대천동 162-1, 162-2, 162-6, 162-10, 185-1, 618-5, 185-13, 185-14, 185-15, 185-16, 185-17, 185-10, 186-1, 186-2, 186-3, 186-5, 186-8, 186-11, 187-1, 187-2, 188-14, 188-15, 188-16, 189-6, 189-12, 18-14 일원 ○ 대천 7통 1반 : 대천동 618-64, 618-69 일원 2반 : 대천동 200-1, 200-6, 203, 203-1, 618-106 일원 ○대천 8통 1반 : 대천동 198-1, 198-2, 198-6, 198-9, 201-4, 201-5, 201-6, 202-1, 202-6 일원 2반 : 대천동 197-1, 197-5, 197-77 일원 3반 : 대천동 195-4, 195-5, 195-10, 195-11, 196, 196-2, 196-7, 196-9, 196-15 일원 4반 : 대천동 197, 197-3, 197-23, 197-36, 197-39 일원 ○ 대천 9통 1반 : 대천동 203-3, 204-1, 204-2, 210-5, 210-6, 210-8, 210-12, 210-13, 210-27, 211-1, 211-4, 211-5, 212-1, 212-2, 614-5, 614-7, 618-82, 618-111, 618-114 일원 2반 : 대천동 618-74, 618-79, 618-80, 618-81, 618-84, 816-85, 618-108, 618-110, 618-129 일원 ○ 대천 10통 1반 : 대천동 207, 209-1, 209-2, 209-8, 209-10, 209-11, 209-20, 209-21, 209-39, 209-40, 209-41, 209-47, 209-52, 209-55, 209-56, 209-57, 209-58, 209-68, 209-70, 209-71, 321-2 일원 2반 : 대천동 205-1, 205-2, 205-4, 205-5, 206-1, 206-2, 206-3, 207-1,208-10, 208-11, 208-12, 208-13, 208-16, 208-18, 208-33, 209-4, 209-6, 209-15, 209-16, 209-17, 209-22, 209-23, 209-33, 209-34, 209-36, 209-37 일원 ○ 대천 11통 1반 : 대천동 217, 228-4, 229-4, 247, 253-1, 255-1, 255-2, 261-1, 261-6, 313-1, 313-3, 618-87, 618-91, 618-94, 618-96, 618-97, 618-131, 621-1 일원 2반 : 대천동 232-2, 238, 243-2, 249-2, 250, 251, 252-2, 269-3, 269-4, 269-5, 270-3, 271, 272-1, 274-2, 274-7, 276, 277 일원 ○ 대천 12통 1반 : 대천동 297-1, 297-8, 297-54, 297-62, 297-73, 297-140, 297-143, 297-316, 297-317, 297-357, 297-358, 297-359, 314-1, 314-2, 318-5, 320-3, 320-7, 320-8, 320-9, 320-12, 320-13, 320-17 일원 2반 : 대천동 297-55, 297-141, 300-2, 300-33, 300-38, 300-39, 300-41, 300-42, 300-44, 300-47, 300-54, 305, 305-1, 306-2, 309-2, 310-1, 310-4, 311-2 일원 ○ 대천 13통 1반 : 대천동 279-1, 279-2, 280, 281, 282-1, 284, 285, 285-8, 285-13, 285-15, 286, 287-1, 287-2, 288-33, 288-72, 288-76, 288-83, 288-87, 288-215, 288-216, 288-219, 288-228, 621-7 일원 2반 : 대천동 288-4, 288-8, 288-29, 288-34, 288-42, 288-48, 288-49, 288-50, 288-51, 288-53, 288-54, 288-57, 288-66, 288-67, 288-68, 288-69, 288-70, 288-71, 288-75, 288-88, 288-89, 288-90, 288-95, 288-95, 288-97, 288-99, 288-102, 288-104, 288-105, 288-165, 288-166,288-167, 288-168, 288-169, 288-170, 288-171, 288-179, 288-204, 299-2, 299-3 일원 3반 : 대천동 288-30, 288-74, 288-93, 288-94, 288-96, 288-114, 288-115, 297-10, 297-63, 297-64, 297-65, 297-362, 298-3, 298-4, 298-5, 298-6, 299-1, 299-4, 299-7, 300-4, 300-10, 300-15, 300-17, 300-18, 300-19, 300-20, 300-23, 300-24, 300-26, 300-30, 300-49 일원 ○ 대천 14통 1반 : 대천동 297-12, 297-13, 297-24, 297-28, 297-59,297-97, 297-112, 297-113, 297-129, 297-130, 297-197, 297-198, 297-226, 297-289, 318-8, 318-10, 318-16, 318-47, 319-1, 319-3, 319-4, 319-5, 320-15, 358-2, 358-9, 358-14 일원 2반 : 대천동 297-15, 297-96, 297-98, 297-100, 297-103, 297-114, 297-115, 297-124, 297-125, 297-126, 297-128, 297-327, 297-380, 361-2, 361-7,361-8, 361-9, 361-15, 361-16, 361-17, 361-18, 361-19, 361-23, 361-24, 361-30, 361-31, 1230-4, 1230-5, 1230-6, 12330-8, 1231-1, 1231-2, 1231-6, 1231-8 일원 ○ 대천 15통 1반 : 대천동 288-1, 288-6, 288-11, 288-14, 288-15, 288-20, 288-22, 288-40, 288-80, 288-85, 288-92, 288-98, 288-112, 288-113, 288-116, 288-117, 288-118, 288-119, 288-120, 288-123, 288-138, 288-152, 288-153, 288-164, 288-173, 288-174, 288-175, 288-176, 288-177, 288-209 일원 2반 : 대천동 297-15, 297-34, 297-39, 297-51, 297-52, 297-66, 297-71, 297-75, 297-76, 297-90, 297-91, 297-92, 297-158, 297-213, 297-251, 297-264, 297-286, 297-295, 297-301, 297-303, 297-304, 297-383, 298-1, 298-11, 298-12, 298-18 일원 ○ 대천 16통 1반 : 대천동 288-101, 288-129, 288-131, 288-133, 288-134, 288-144, 288-147, 288-148, 288-149, 288-163, 291, 293-1, 293-8, 297-5, 297-67, 297-142, 297-177 일원 2반 : 대천동 295-1, 296-1, 297-43(구중앙아파트), 297-89, 1235, 1235-4, 1235-6, 1235-7, 1235-12, 1235-13, 1235-14, 1240-9, 1240-10, 1240-11, 1240-12, 1240-13, 1240-14, 1241-1, 1241-2, 1437, 1438, 1443, 1446, 1449, 1475, 1476, 1477, 1478, 1479, 1480 일원 ○ 대천 51통 1반 : 대천동 297-19, 297-21, 297-22, 297-40, 297-50,297-86, 297-185, 297-193, 297-200, 297-204,297-214,297-219,297-234, 297-238, 297-260, 297-265, 297-268, 297-286, 297-300, 297-300, 297-308, 297-310, 297-311, 297-313, 297-322, 297-324, 297-325, 297-329, 297-334, 297-335, 297-347, 297-364, 297-365, 361-5, 361-12, 361-14, 361-25, 361-29 일원 2반 : 대천동 1229, 1229-2, 1232-1, 1234(신중앙아파트), 1235-2 일원 ○ 대천 52통 1반 : 대천동 288-36 태영아파트 1동 2반 : 대천동 288-36 태영아파트 2동 ◎ 대천간사지 : 대천간척지를 말한다. 대천지역에서는 바다를 막아 농경지화 한 곳을 '간사지'라고 흔히 부른다. ◎ 보 통 : 현 대천 목욕탕 뒤쪽에 있던 보를 부르는 이름이다. 구장터 쪽으로 물을 대기 위하여 보를 막았는데 수위를 높여 물을 대는 역할과 해수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역하도 하였다. 대천천의 최하류에 있언 보이다. 보가 시내에 인접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나와 빨래도 하였으며 수심이 깊어 어린이들이 빠져 죽기도 하였다. 1970년대 초 매립되고 이 洑에서 구시 쪽으로 나가던 수로는 현재 하수도 역할을 한다. ◎ 봉산(鳳山) : 봉황산을 줄여 부르는 이름으로 주로 대천초등학교 뒤쪽의 봉황산 줄기를 봉산이라 부른다. 주민들은 보통 학교 뒷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옛날에 대천초등학교를 봉산초등학교라 불렀다. ◎ 봉황산(鳳凰山) : 대천 시가지 북쪽의 산이다. 죽정동의 노인들이 부엥산으로 부르는 것으로 보아 원래 부엥산(부엉산)으로 부르던 것이 한자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봉황산(鳳凰山)으로 부른 것으로 생각된다. ◎ 산제당 : 수청구지에 있는 산제당을 말하는데 근처의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정월 14일 밤에 산제를 지낸다. ◎ 삼형제 바위 : 숭어둠벙 안에 있던 바위로 물이 빠지면 물 밖으로 나왔다. ◎ 새장터(新市) : 구장터의 상대 지명이다. 현재의 대천 시가지를 말한다. 구시로 철도가 통과하면서 처음에는 구시 북쪽(청양 방면 도로)으로 확장되었고 점차 역전 쪽으로 확장되어 오늘과 같이 되었다. ◎ 새 터 : 대천초등학교 앞 지역으로 과거 대천천이 범람하여 형성한 섬과 같은 곳으 로 동대동의 나무장터와 유사한 지형이다. ◎ 쇗 개 : 대천천의 河口(하구)에 해당하는 곳으로 과거에는 대천시장으로 통하는 관문이었다. 장날이면 외연도 삽시도 원산도 쪽에서 장배가 들어와 정박하여 해산물을 공급하고 생활필수품을 가져갔으며, 일제시대에는 정기 연락선인 한천丸(환), 大川丸(대천환)이 군산-인천으로 통하여 현미를 반출해 가고 생활 필수품인 광목, 설탕, 시멘트, 성냥 등을 들여 왔다. 사리 때는 쇗개레 배를 대었으나 조금 때는 홍어부리에 대었다. 옛 문헌과 지도에는 해소포(蟹所浦)로 표기되어 있는 바 이것은 소해포(所蟹浦)의 誤記(오기)인 것으로 보인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쇠(金)를 반출하였기 때문에 쇗개로 불리우고 金浦(금포)로 표기 했다고도 한다. 현재는 포구로의 기능은 완전히 상실하고 구시와 이어져 주거지로서의 기능만 한다. ◎ 수멍통 : 원간사지의 수멍 구멍으로 6.25사변 때 적 치하에서 많은 사람을 죽여 버리기도 했던 곳이라고 한다. ◎ 수청구지 : 대천여중 동쪽에 내민 산줄기이다. 대천동 주민들이 매년 정월 14일에 산제를 지내는 산제당이 있다. ◎ 숭어둠벙 : 대천천과 궁촌천이 만나는 지점이다. 물이 서너길 되게 깊었고 숭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물이 깊어 빠져 죽은 사람이 많다. 물이 빠지면 바위 3개가 나왔는데 3형제 바위라고 하였다. ◎ 신사당 : 일제시대 신사(神社)가 있던 곳으로 현 대승사 자리이다. 일제시대부터 불리오던 타성으로 신사당근처를 신사당이라는 지명으로 부른다. 근래 뜻있는 사람들이 산사당 또는 신사밑으로 부르지 말고 봉황산 밑이라는 의미에서 봉황동으로 부르지는 운동을 하고 있다. ◎ 신시(新市) : 1960년대 초 대천동 안에 있던 행정동의 한 이름. ◎ 신시(新市) : 구장터의 한자식 표기. ◎ 신평(新坪) : 1960년대 초 대천리를 4개의 행정동으로 구분하면서 생긴 이름으로 새터와 윗갈머리를 합하여 신평이라 하였다. ◎ 원간사지 : 대천역에서 쇗개에 이르는 간척지로 일제시대 이전에 순수한 인력에 의해 간척한 곳이다. 아랫갈머리에 살던 한산 이씨가 막았다는 전설이 있다. 이 간척지밖에 새로운 간척지가 만들어져 옛 제방에는 집이 들어서 있기도 하다. ◎ 원 뚝 : 원간사지 둑으로 하부폭 10m, 상부폭 1m, 높이 5m 정도이며 밖에는 석축을 하였다. ◎ 윗갈머리 : 갈머리 중 대천여중 동쪽지역을 이르는 말이다. ◎ 충혼각 : 대승사 앞에 있는 6.25전몰 군경의 사당이다. 충혼각 앞에는 위령비가 있고 매년 현충일에 위령제를 지낸다. ◎ 한내들 : 갈머리 밑에 있는 신시지역의 논이다. 현재는 거의 시가지화 되었다. ◎ 홍어뿌리 : 아랫갈머리에서 대천간척지로 들어오는 길과 간척지 제방이 만나는 곳의 갯고랑을 말한다. 갯고랑의 모습이 홍어의 머리를 닮아서 그렇게 부르지 않았나 생각된다. 현재는 이곳까지 소형선박이 들어올 수 있으며 젖갈창고 몇동이 있다. 죽정동(竹亭洞) 본래 보령군 목충면(睦忠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회두리(回頭里), 독정리(篤亭里), 중보리(中洑里), 죽동(竹洞), 지장동(地藏洞)을 병합하여 죽동(竹洞)과 독정(篤亭)의 이름을 따서 죽정리라 하여 대천면(읍, 시)에 편입됨. 1986는 시 승격과 함께 죽정동으로 부르게 되었다. ◎ 가는골 : 대락굴의 동북쪽 골짜기가 가느다랗게 생겼다 해서 가는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 가장굴 : 대락굴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고장(高場) : 높음 마당의 한자식 표기이다. 1960년대 죽정동을 3구의 행정구로 구분할 때 高場이라 하였다. ◎ 괭명들 : 지장골 앞 들 ◎ 국수쟁이 : 독쟁이 북쪽에 있는 산. 청라면과의 경계 ◎ 기계보 : 現(현) 대천 정수장 앞에 있는 보이다. 과거에도 보가 있었는데 대천1동기로 물을 끌어 올려 機械洑(기계보)라 불렸다. ◎ 꽃닥굴 : 종합병원이 있는 곳. ◎ 높은마당 : 대락굴과 대천천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대천-청양간 국도가 통과하고 있으며 원래 대천천이 범람하면서 생긴 자연제방으로 주변보다 높아 수래의 염려가 적기 때문에 일찍부터 가옥이 들어섰다. 주변은 모두 논이다. 주변보다 높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 대락굴 : 바락굴과 가장굴 사이의 골짜기로 예부터 많은 가옥이 밀집했던 곳이다. 특히 윗뜸에는 조대비의 집으로 전하는 대규모의 전통 상류가옥이 있었으며 현재도 그 가옥의 터와 건물일부가 남아있다. 1915년 측도한 1:50000 지형도에 의하면 이곳에 대천면사무소가 표기되어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과 함께 대천면이 설치되면서 면사무소를 이 곳 趙大妃(조대비) 가옥에 둔 것으로 보인다. ◎ 독쟁이 : 종합병원 밑의 마을이다. 대천의 서북쪽 경계지역이다. 청라면과의 경계는 청천저수지 공사로 수몰되었다. 천휴당의 비각이 있다. ◎ 독정(篤亭) : 독쟁이의 한자식 표기이다. 1960년대 죽정리를 3구로 구분할 때 독쟁이 지역의 행정구역 이름을 篤亭(독정)이라 하였다. ◎ 뚝 안 : 새뚝의 안쪽에 있는 논. ◎ 마녀들 : 바락굴 앞에 있는 들. ◎ 바락굴 : 지장굴과 대락굴 사이의 골짜기이다. 인가가 2-3가구밖에 없다. 대천고등학교를 이곳에 옮길 계획이 있다. ◎ 방소나무 : 중보에 있던 커다란 소나무이다. 과거 청라쪽으로 통하던 큰 길 옆에 있었다. 가지가 세갈래로 되어 있었는데 어찌나 컷던지 하나의 가지가 두어아름 되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이 소나무를 神樹(신수)로 여겨 제를 지냈다고 한다. 제일은 정월보름으로 마을의 최 고령자를 제관으로 뽑고 일반적인 금기사항을 지키며 제를 지냈으며 소지를 올렸는데 소지는 마을 대동소지 하나만 올렸다고 한다. 이 나무가 길 옆에 있고 그늘이 시원했기 때문에 여름에는 마을 전 주민이 살다시피 했고, 지나가던 행인이 자고가는 경우도 많았으며 단오 때에는 동아줄로 그네를 매고 뛰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이 동티난다고 건드리지 않은 나무였으나 해방후 6.25사변 전에 자연히 죽어 베었다고 한다. 현재도 이 나무가 섰던 자리는 시유지로 되어 있다고 한다. ◎ 방아다리 : 대락굴 입구 現(현) 竹洞稿(죽동고) 바로 윗쪽을 말한다. 과거 이 자리에 물레방앗간이 있었고, 방앗간 있는 곳의 다리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방앗논 : 현 대천체육관 앞에 있던 논 ◎ 벌 터 : 높은마당 남쪽의 작은 마을이다. 우리 고장에서는 넓고 평평한 곳을 '벌'이라고 하는데 넓은 들 가운데 있어서 그렇게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 산제당 : 지장굴과 가장골 사이의 언덕에 있었다. 현재도 남아있는 神樹(신수)인 정자나무 밑에서 지냈는데 별도의 건물은 없었고 제를 지낼 때마다 임시로 초가집을 지었다. 정월 초 이튿날에 제를 지냈으며, 제를 지내기 전 대동샘 물을 세 번 품고 금줄을 쳐서 잡인들의 사용을 금하고 사용하였다. 祭器(제기)자리 상은 모두 새로 사서 사용하였고, 제관 축관은 1주일 동안 매일 찬물에 목욕하였다고 한다. 1964년 경에 미신 타파 정책으로 제를 지내기 않았다. 이 곳의 제는 대락골 사람들 뿐 아니라 소삼 높은마당 벌터 참나무숯쟁이 사람들이 모두 함께 지냈다. ◎ 상어보 : 독쟁이와 중보 사이에 있던 보. ◎ 새논들 : 중보와 높은마당 사이의 들, 주변보다 약간 높은 자연제방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비교적 늦게 개간 된 듯하다. 상아보에서 물을 대었다. ◎ 새 뚝 : 대락굴에서 내려오는 하천이 평지를 만나면서 하천 바닥에 모래를 퇴적하여 하천 바닥이 높아진 이른바 천정천으로 남서쪽으로 휘어져 있다. ◎ 서낭댕이 : 지장골 입구에 있던 서낭댕이이다. 現 우림주택 담장 옆에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 ◎ 세목골 : 대락굴의 북쪽 가운데 골짜기로 올라가면 세길이 만난다고 해서 세목골이라고 부름. ◎ 소 삼 : 높은마당 북쪽의 작은 마을이다. 옛날에 집이 3가구 있어 그렇게 부른다고도 하고 내가 3개 있어 그렇게 부른다고도 한다. ◎ 쌍너덜 : 대락굴의 서북쪽 골짜기. 두줄로 돌너덜이 있다고 해서 쌍너덜이라고 한다. ◎ 아랫뜸 : 대락굴의 아랫 동네. ◎ 안 골 : 독쟁이의 계곡 안쪽. ◎ 안 산 : 독쟁이 서남쪽에 있는 산. ◎ 오동굴 : 독쟁이 큰고랑과 참나무골 사이의 계곡 ◎ 오리보 : 독쟁이 앞에 있던 보 ◎ 용 못 : 과거 지장골로 통하던 길의 입구에 웅덩이로 용이 올라갔다는 전설이 있다. 대천천이 과거에는 이곳으로 흘렀음을 말해주는 곳이다. 지금은 모두 메꾸어졌다. ◎ 윗 뜸 : 대락굴의 윗 동네. ◎ 자갈뒷동산 : 바락굴과 대락굴 아랫뜸 사이에 있는 조그만 동산이다. ◎ 자라바위 : 오리보 안에 있던 바위로 자라가 새카맣게 앉아 있었음. ◎ 제삿갈 : 높은마당과 대천천 사이의 논이다. 어느 집안의 제사 비용을 위한 논이었기 때문에 제삿갈로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 竹洞(죽동) : 1960년대 죽정동을 竹洞(죽동) 高場(고장) 篤亭(독정)의 3구로 구분할 때 붙여진 이름으로 지장굴에서 대락굴까지를 부르는 이름이다. ○ 죽정 1통 1반 : 죽정동 21-3, 22-3, 40-3, 47-1, 48-3, 49, 49-1, 50, 52-1, 52-2, 52-3, 52-4, 52-9, 54-7, 54-8, 54-12, 54-16, 54-17, 54-21, 54-22, 58-1, 64-3, 66-6, 66-7, 69-2, 71-1, 71-2, 71-4, 74-1, 80-1, 80-2, 88, 91-1, 91-2, 93, 95, 96, 97, 105-1, 110-2, 114-2, 479, 산1 일원 2반 : 죽정동 71-2, 74-1, 100-2, 101-2, 102, 103, 104, 144-2, 115, 116, 121-2, 121-3, 121-4, 121-7, 212-9, 121-12, 121-14, 121-25, 195, 196, 202, 202-2, 203, 206, 206-1, 206-2, 206-3, 208-4, 210-7 일원 3반 : 죽정동 155-1, 155-2, 155-4, 163-5, 163-7, 165-1, 170, 170-2, 171, 172-2, 173-3, 175-3, 180, 208-3, 210-3, 210-4, 210-9, 211-3, 211-4, 211-9, 221-2, 228-1, 226-2, 280, 280-4, 324-2, 324-5, 326-1, 327-1 일원 ○ 죽정 2통 1반 : 죽정동 362-1, 363-2, 366-1, 368-2, 372-2, 391-1, 395, 397-1, 407-1, 477-1, 477-6, 500-2, 749-1 일원 2반 : 죽정동 35-1, 481-3, 500, 506-1, 508-1, 513-2, 590, 597-2, 765-1 일원 3반 : 죽정동 542-3, 546-3, 548, 552-1, 561-3, 565-2, 570, 582-2, 597-1, 600, 601-1, 620-1 일원 ○ 죽정 3통 1반 : 죽정동 646-4, 563-2, 653-5, 563-7, 662-1, 662-5, 662-16, 663-2, 663-6, 669-1, 671-2, 674-1, 674-3, 674-5, 647-7, 730-2, 730-27, 산4-1, 산6-6, 산6-17, 산6-21, 산8-1, 산9-1, 산9-3 일원 2반 : 죽정동 735-19(유성아파트 1차 101동~103동) 3반 : 죽정동 735-12(유성아파트 1차 105동~107동) 4반 : 죽정동 735-21(유성아파트 1차 108동~110동) ○ 죽정 4통 1반 : 죽정동 653-29, 654-5, 654-7, 654-9, 726-5, 726-7, 729-1, 730-29, 731-1, 735-5, 737-7 일원 2반 : 죽정동 720(우림주택) 일원 3반 : 죽정동 658(한전아파트), 739-6, 740, 740-12, 742-4, 772 일원 ○ 죽정 5통 1반 : 죽정동 666-1, 675-5 현대아파트 101동 2반 : 죽정7동 666-6, 675-5 현대아파트 102동 3반 : 죽정동 675-5 현대아파트 103동 4반 : 죽정동 675-5 현대아파트 104동 ○ 죽정 6통 1반 : 죽정동 646-7, 646-8, 646-9, 649-5, 653-4, 656-2, 662-2, 662-3, 662-11, 662-12, 668-4, 669-5, 674-8, 693-4, 714-1 일원 2반 : 죽정동 733(남해주택) 3반 : 죽정동 745(유성아파트 2차 101동~103동) 4반 : 죽정동 745(유성아파트 2차 105동~106동) ◎ 중 보 : 청라방면 국도와 종합병원 방향 도로가 갈라지는 곳에 있는 마을이다. 이 곳 남쪽을 지나는 대천천에 예부터 많은 보를 막아 농업용수로 이용하였는데 가운데 보라는 뜻에서 중보라고 이름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보가 구체적으로 대천천의 어디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 지장굴 : 봉황산과 공판재 테성메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남동향으로 겨울에 따뜻한 마을이다. 과거에는 인구의 거주가 적었으나 근래에 유성아파트 한전아파트 남해아파트 현대아파트등이 들어서 인구가 급증하였으며 진입도로도 새로 만들어져 있다. 옛날에 지장풀이 많아서 지장굴이라 부른다는 설도 있다. ◎ 참나무골 : 독쟁이 북쪽에 있는 계곡. ◎ 참나무숯쟁이 : 높은마당 동쪽 지역을 말한다. 과거 참나무가 많았다. 숯을 구웠던 것으로 보인다. ◎ 천다랭이 : 지장골의 서쪽에 있던 논들을 일컫는 말이다. 논이 하도 작고 여러 다랑이로 되어 있어 그렇게 붙인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한전 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자리이다. ◎ 철 뚝 : 지장골 앞 괭명들에 있는 높은 언덕으로 집이 2가구 있었으나 현재는 주민이 없다. 모래 자갈로 되어있어 과거 하천이 이 지역을 흐를 때 좀 높아진 곳이다. 농지를 개척하면서 자갈을 쌓아놓은 곳으로 보인다. 현재의 철뚝 바로 옆에 있는 둑에서 모래를 채취한 적이 있다고 한다. ◎ 칠성제당 : 칠성제를 지내던 곳으로 세목골 밑에 있었음. ◎ 큰고랑 : 독쟁이의 서남쪽 계곡 안에 절터가 있다. ◎ 테성메산 : 지장굴과 바락굴 사이에 있는 봉황산 자락인데 끝 부분에 현대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옛날 이곳에 城이 있었는데 장수가 마을 앞 동대동의 동메산과 싸울 때 산의 일부를 잘라오다가 떨어져 높은마당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높이 77.3m이다. ◎ 호랭이 턱거리 : 중보의 북쪽 산 끝. |